J Korean Diabetes > Volume 24(3); 2023 > Article
당뇨병과 지방

Abstract

Fats are important nutrients that supply energy and help to regulate the processes of the human body. The proportion of fat in the energy intake of Koreans, as well as that of saturated fatty acids is continuously increasing.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quality of f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take of fat because of the effects on insulin sensitivity or blood lipid levels depending on the type of fat. To prevent excessive intake of energy or bad fat, total fat intake is recommended to be < 30% of total energy intake. Saturated fatty acids, which have the greatest adverse effect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re recommended as < 7% of total energy, while trans fatty acids are suggested to be avoided and replaced with unsaturated fatty acids. Emphasis is placed on incorporating healthy eating patterns such as those of the Mediterranean diet and DASH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rich in mono- 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 balanced intake of fatty acids and a variety of nutritional foods in appropriate amounts is important for health.

서론

지방(fats)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화합물인 지질(lipids)에 포함되는 하위 개념으로, 상온에서 고체인 지질을 의미하나 식품에 함유된 지질을 지방으로 통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지방은 에너지를 공급하며 인체를 구성하고 조절하는 중요한 영양소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에너지섭취량 중 지방 비율은 연령에 따라 13∼26%로 서구에 비해 낮으나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1], 특히 젊은 층일수록 총 지방과 포화지방산의 섭취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2].
지방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지방의 총 섭취량보다 종류에 따라 인슐린민감성이나 혈중지질 수치에 영향을 더 미칠 수 있으므로, 지방의 질이 더 중요함을 보고하고 있다[3]. 특히 포화지방산이나 트랜스지방산의 섭취 증가가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을 높여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당뇨병환자에서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비당뇨인에 비해 2∼4배 높은 만큼[4], 지방의 적절한 섭취와 올바른 종류의 선택이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최근 이상지질혈증 관리 및 치료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면서 미국, 유럽 등의 심장병 관련 학회뿐 아니라 대한당뇨병학회나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는 저밀도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콜레스테롤의 치료 목표를 위험군에 따라 더 낮추어 적극적인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당뇨병환자에서 지방의 섭취량과 질에 따라 혈당조절 및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상지질혈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지방섭취를 어떻게 해야 할지 지침과 권고안을 살펴보면서 식생활에서의 올바른 지방섭취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론

식품이나 체지방의 95%가 중성지방 형태로 존재하는 지방은 1 g당 9 kcal의 고효율 에너지원이며,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필수지방산을 공급하고, 지용성비타민 A, D, E, K의 흡수 촉진 및 포만감을 제공한다. 또한 체지방의 형태로 장기 보호 및 체온조절의 기능뿐 아니라 인지질이나 콜레스테롤 형태로 뇌, 신경, 간 등 주요기관에 세포막 구성 성분으로 존재하며, 호르몬 합성 등 다양한 기능을 돕는다.
중성지방은 글리세롤 1분자에 지방산(fatty acid) 3분자가 에스테르 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지방산의 탄소 분자 사이의 이중결합 여부에 따라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으로 구분한다.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의 수에 따라 단일불포화지방산과 두 개 이상인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 분류하며, 지방산의 마지막 부분인 메틸기에서 가장 가까운 이중결합을 이루는 탄소의 위치에 따라 오메가-3 (omega-3), 오메가-6, 오메가-9지방산으로 나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 액체의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체로 전환시키는 경화공정에서 생성되며 이중결합을 중심으로 탄소 사슬 모양이 시스(cis-)에서 트랜스(trans-) 형태로 바뀐 지방산을 트랜스지방산이라고 한다. 지방의 질을 언급할 때는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을 좋은 지방으로,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을 나쁜 지방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우리가 식품으로 섭취하는 지방은 단일지방산으로 존재하지 않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다양한 비율로 섞여 있다.
지방은 섭취하는 종류와 양에 따라 동맥경화증, 심혈관질환, 당뇨병, 암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지방섭취와 관련된 많은 임상연구 결과들을 반영하고 체계적문헌연구를 통해 여러 학회에서 꾸준히 지침이나 권고안을 제시하고 있다.

1. 총 지방(dietary fats)

미국의 42,504명을 대상으로 한 전향연구에서 총 지방섭취량은 2형당뇨병의 위험성을 증가시켰으나 체질량지수로 보정 후에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5], 저지방식사와 저탄수화물식사가 체중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본 다른 연구 결과에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고, 고지방식사가 체중을 증가시키거나 인슐린저항성, 심혈관위험을 높이지는 않았다 [6]. 또한 한 메타분석에서는 총 지방섭취량과 2형당뇨병 위험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ive risk [RR] 0.93, 95% confidence interval [CI] 0.86 to 1.01) [7]. 심한 비만 환자 132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사에서 저지방식사보다 체중이 더 많이 감소했으며, 인슐린민감성과 중성지방 수치 개선에 더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8]. 지나친 지방섭취의 제한은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섭취를 증가시키고, 혈중 중성지방과 고밀도지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 HDL)콜레스테롤 수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9]. 그러나 지방의 섭취 비율이 총 에너지의 35%를 초과하면 포화지방산과 에너지섭취가 많아지고, 혈중지질 수치와 당화혈색소, 염증반응 수치의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10]. 2019 유럽심장학회/유럽동맥경화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 ESC/EAS) 진료지침에서는 지방섭취를 총 에너지의 25∼35%로[11], 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에서는 15∼30%로 권고하고 있다[1]. 국내 성인에서 총 지방의 섭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적절한 다량영양소의 섭취 비율을 유지하면서 에너지나 포화지방산의 과잉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2021 대한당뇨병학회와 2022 한국지질ㆍ동맥경화학회에서는 총 지방섭취량을 에너지의 30% 이내로 권고하고 있다[12,13].

2.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s)

포화지방산의 과다 섭취는 혈중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한 메타분석에서는 총 에너지섭취 중 포화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1% 증가하면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0.8∼1.6 mg/dL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9,13]. 체계적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서는 에너지의 5%에 해당하는 포화지방산을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했을 때 공복혈당이 유의하게 감소하고(pooled mean change −0.04 mmol/L, 95% CI −0.07 to −0.01, P = 0.028), 당화혈색소도 개선되어 혈당조절에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14]. 2013 및 2018 미국심장협회/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HA/ACC) 진료 지침에서는 포화지방산을 총 에너지의 5∼6%로[15,16], 2019 ESC/EAS 진료지침에서는 10% 미만으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되, 고콜레스테롤혈증일 경우 7% 미만으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였다[11]. 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1], 2021 대한당뇨병학회[12] 및 2022 한국지질ㆍ동맥경화학회[13]에서는 국내 성인의 지속적인 포화지방산섭취 증가 추이로 인한 건강상 위해 및 이상지질혈증 위험을 고려하여 총 에너지의 7% 이내로 섭취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3.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s)

포화지방산에 대한 많은 연구 및 지침에서 포화지방산섭취를 줄이기 위해 단일 또는 고도불포화지방산섭취로 대체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불포화지방산 종류에 따라 권고되는 섭취량은 관련 근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다.

1) 단일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s)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InterAct 연구[17]와 메타분석[7]에서는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과 2형당뇨병 위험 사이에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2,139명의 이란 성인을 대상으로 한 Tehran Lipid and Glucose 연구에서는 높은 단일불포화지방산섭취가 2형당뇨병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R 0.30, 95% CI 0.13 to 0.70) [18]. 또한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연구에서 높은 단일불포화지방산섭취(총 에너지의 10∼15%)는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glucose, IFG) 위험이 10%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식물성 단일불포화지방산이 베타세포 기능 개선 및 관상동맥심장질환 예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20,21], 단일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지중해식단의 이점과 구분하여 당뇨병 위험과 단일불포화지방산만의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오메가-6지방산(omega-6 fatty acids)

다수의 연구에서 오메가-6지방산섭취는 초저밀도지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과 LDL콜레스테롤 감소 및 HDL콜레스테롤 증가에 기여하며[22,23], 한 메타분석에서는 생체 혈액 순환 및 조직 내 높은 수치의 오메가-6지방산이 관상동맥심장질환, 허혈성 뇌졸중,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24]. 또한 미국인을 대상으로 12년간 추적한 코호트 연구에서 오메가-6지방산을 총 에너지의 4∼5% 섭취 시 IFG와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위험이 12% 감소됨이 보고되었다[19].

오메가-3지방산(omega-3 fatty acids)

많은 역학 및 임상연구에서 오메가-3지방산 중 특히 아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과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의 섭취는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됨을 보고하고 있으며, 메타분석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였다[25-27]. AHA에서는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에 따라 오메가-3지방산의 섭취를 제시하고 있으며(150∼199 mg/dL이면 0.5∼1 g; 200∼499 mg/dL이면 1∼2 g; 500 mg/dL이면 > 2 g) [28],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주 1∼2회 정도 어패류섭취를 제안하고 있다[29]. 2023 미국당뇨병학회[30]와 2019 ESC/EAS 진료지침[11]에서도 EPA와 DHA 가 함유된 지방이 많은 생선과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이 함유된 견과종실류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오메가-3지방산 보충이 중성지방 수치 개선을 위해 일부 효과적일 수 있으나, 고용량보충제는 혈청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11,31,32]. EPA와 DHA의 섭취 수준은 250∼1,000 mg/일 범위에서 학회나 연구에 따라 다르게 제안되고 있으며, HDL콜레스테롤 감소나 LDL콜레스테롤 증가와 같은 영향을 주지 않고 식단에 포함되어야 하는 오메가-3지방산의 이상적인 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오메가-3지방산섭취량에 해당하는 역U자 형태의 당뇨병 위험을 보여주는 메타분석 연구가 있으며[33], 인슐린민감성과 2형당뇨병 위험과의 연관성은 오메가-3지방산의 양과 종류 및 대상자의 인종이나 연령 등에 따라 불일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34,35]. 2021 대한당뇨병학회[12]와 2023 미국당뇨병학회[30]에서는 당뇨병환자에게서 불포화지방산 보충제가 혈당 개선 및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복용은 권장하지 않고 있다. 최근 메타분석에서는 불포화지방산 보충제가 당뇨병 발병 위험이나 혈당 대사에 개선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36].

4. 트랜스지방산(trans fatty acids)

트랜스지방산섭취는 혈중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HDL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염증이나 내피기능이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37]. 체계적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서는 트랜스지방산섭취와 전체 원 인 사망률(RR 1.34, 95% CI 1.16 to 1.56), 심혈관질환 사망률(RR 1.28, 95% CI 1.09 to 1.50) 및 관상동맥심장질환 위험(RR 1.21, 95% CI 1.10 to 1.33)과 관련이 있는 반면, 허혈성 뇌졸중, 2형당뇨병과는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38]. 2018 AHA/ACC 진료지침에서는 트랜스지방산섭취를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16], 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에서는 에너지섭취의 1% 미만으로 권고하고 있다[1].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1일 평균 트랜스지방산섭취량은 0.46 g 정도로 서구 지역에 비하면 높지 않으나[39], 성인에 비해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섭취량이 높은 편이며, 가공식품 및 외식 섭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2019 ESC/EAS 진료지침[11]과 2021 대한당뇨병학회[12], 2022 한국지질ㆍ동맥경화학회[13]에서는 트랜스지방산섭취를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반추동물에서 나오는 유제품에 트랜스지방산이 약 5% 들어 있으며,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이 트랜스지방산은 경화유에 들어있는 트랜스지방산과는 달리 체내에 유익한 물질로 전환되며, 일부 임상연구 및 메타분석에서는 유제품에 함유된 트랜스팔미 톨레익산(trans-palmitoleic acid, trans-16:1, 오메가-7) 섭취가 인슐린저항성 및 2형당뇨병 발병과 역의 연관성을 나타냈다[34].

5. 콜레스테롤(cholesterol)

콜레스테롤섭취 증가가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40], 다수의 임상연구에서 콜레스테롤섭취가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은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에 비해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다[41]. 2013 및 2018 AHA/ACC 진료지침에서는 콜레스테롤섭취 제한에 대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언급하면서 건강한 식품으로 구성된 식사패턴 섭취를 강조하였다[15,16]. 2019 ESC/EAS 진료지침에서는 혈청 콜레스테롤 이 높은 경우에만 콜레스테롤섭취를 300 mg 이내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였다[11]. 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은 식사를 통한 콜레스테롤섭취량이 혈중지질이나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으나 연구 결과들이 일치되지 않아 평균 섭취량 수준을 고려하여 19세 이상 성인에서 콜레스테롤을 하루 300 mg 미만으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1]. 2021 대한당뇨병학회에서도 동일하게 권고하고 있으며[12], 2022 한국지질ㆍ동맥경화학회에서는 콜레스테롤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에는 과다 섭취를 주의하도록 고려하였다[13].

6. 건강한 지방섭취 방법

지방산을 잘 선택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지방산의 종류를 구별하여 섭취하는 것은 어렵다.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대신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된 식품을 올바르게 선택하고 섭취하는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Table 1).
Table 1.
Recommendations for fat intake from various guidelines
ACC/AHA (2013 & 2018) ESC/EAS (2019) Korean DRI (2020) KDA (2021) KSoLA (2022)
Dietary fats 25∼35% of energy 25∼35% of energy 15∼30% of energy < 30% of energy < 30% of energy
SFA 5∼6% of energy < 10% of energy a < 7% of energy < 7% of energy < 7% of energy
Trans FA Avoid intake Avoid intake < 1% of energy Avoid intake Avoid intake
Cholesterol - < 300 mg/day b < 300 mg/day < 300 mg/day Reduce intake b

ACC/AHA,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ESC/EAS,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 DRI, dietary reference intake; KDA,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SoLA, Korean Society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SFA, saturated fatty acids; FA, fatty acids.

a < 7% of energy in the presence of hypercholesterolemia.

b Recommended for people with high plasma cholesterol levels.

7. 건강한 식사패턴

혈당 대사 개선 및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기 위해 2023 미국당뇨병학회에서는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한 지중해식 또는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식사패턴 적용을 권고하고 있다[30,42]. 죽상경화심혈관질환(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ACC/AHA 에서는 채식 기반 및 지중해식 식단과 콜레스테롤과 나트륨이 적으며 트랜스지방산을 피할 수 있는 식단을 권고하였으며[43], 2019 ESC/EAS에서도 역학 연구의 일관된 증거에 따라 지중해식 및 DASH 식사를 강조하였다[11]. 2023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지중해식, 채식, 저지방식, DASH, 저탄수화물식 식사패턴을 개별화된 목표와 선호에 따라 적용하도록 권고하였으며[44,45], 2022 한국지질ㆍ동맥경화학회에서는 이상지질혈증 관리를 위해 지방섭취뿐 아니라 탄수화물섭취의 양과 질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며, 한국인에게 적절한 식사패턴을 권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13]. 국내 여러 식사패턴 연구 결과를 통해 잡곡이나 통곡류섭취 비중을 높이고 탄수화물섭취 비율이 높지 않도록 주의하며, 부식으로 채소류, 콩류, 생선류 등을 풍부하게 구성하는 반면 적색육이나 가공육의 섭취는 줄이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단 음료나 디저트는 자제하고 생과일과 흰 우유를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결론

본론에서 다룬 많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양한 학회에서 제시하는 지방섭취 권고안과 지방 종류별 주요 식품 및 섭취 방법, 건강한 식사패턴을 Table 1∼3에 정리해 보았다. 개개인의 상태나 치료 목표, 기호를 바탕으로 건강한 식사패턴을 활용하여 각자에게 알맞은 에너지섭취 범위에서 지방의 양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의 균형된 섭취와 이를 위해 다양한 식품을 올바르게 선택하며 적절한 양으로 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Table 2.
Main food sources and intake methods for types of fatty acids
Type of fats Examples for food sources Intake methods
SFA (e.g., laur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etc.) Meat and sausages, butter, milk and dairy products, palm oil, coconut oil, etc. • Remove fat or skin of meat
• Choose a low-fat dairy product
• Reduce intake of processed meat
• Restrict foods containing SFA
• Check nutrition facts
MUFA (e.g., oleic acid, palmitoleic acid) Plant-based food: olive oil, safflower oil, hazelnuts, almonds, pistachios, olives, avocados, etc. • Use in salads, sauces, or seasonings
• Buy in small amount
• Consume < 6 months after opening
Animal-based foods: eggs, butter, dairy products, meat and meat products, etc. • Close the lid tightly
• Store in a dark and cool place
• Eat nuts adequately
Omega-6 FA (e.g.,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etc.) LA in plant-based food: grapeseed oil, sunflower oil, cottonseed, corn oil, soybean oil, sesame oil, etc. • Buy in small amount
• Consume < 6 months after opening
• Close the lid tightly
AA in animal-based foods: meat, butter, milk and dairy products, egg yolk, etc. • Store in a dark and cool place
• Choose to bake, poach, or steam rather than stir-fry or deep-fry
• Choose low fat dairy
Omega-3 FA (e.g., alpha-linolenic acid, EPA, DHA) ALA in plant-based food: perilla oil, flaxseed oil, walnut, canola oil, etc. • Consume fish oil with foods rich in vitamin E or antioxidants
EPA and DHA in animal-based foods: fatty fish (salmon, mackerel, saury, tuna, etc.), microalgae, fish oil, etc. • Eat fish 1∼2 times a week
• Eat nuts adequately
Trans FA Industrial products containing (partly) hydrogenated fats: e.g., margarine, bakery products, etc. • Limit foods containing trans fatty acids and takeaways
• Check nutrition facts
• Store in a dark place after sealing
Natural products: small amounts in butter, milk and dairy products, meat. • Choose lean meat
• Choose unprocessed food rather than fastor processed food
Cholesterol Animal-based food: animal organs, eggs, squid, shrimp, etc. • Reduce excessive intake
• Control cholesterol intake with a healthy diet that includes plant-based foods

SFA, saturated fatty acids; MUFA, monounsaturated fatty acids; FA, fatty acids; LA, linoleic acid; AA, arachidonic acid; ALA, alpha-linolenic acid; EPA, eicosapentaenoic acid; DHA, eicosapentaenoic acid.

Table 3.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healthy eating patterns
Type of eating pattern Description Potential benefits reported*
Mediterranean-style Emphasizes plant-based food (vegetables, beans, nuts and seeds, fruits, and whole intact grains); fish and other seafood; olive oil as the principal source of dietary fat; dairy products (mainly yogurt and cheese) in low to moderate amounts; typically fewer than 4 eggs/week; red meat in low frequency and amounts; wine in low to moderate amounts; and concentrated sugars or honey rarely. • Reduced risk of diabetes
• A1C reduction
• Lowered triglycerides
• Reduced risk of major cardiovascular events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Emphasizes vegetables, fruits, and low-fat dairy products; includes whole intact grains, poultry, fish, and nuts; reduced in saturated fat, red meat, sweets, and sugar-containing beverages. May also be reduced in sodium. • Reduced risk of diabetes
• Weight loss
• Lowered blood pressure
Vegetarian or vegan The two most common approaches found in the literature emphasize plant-based vegetarian eating devoid of all flesh foods but including egg (ovo) and/or dairy (lacto) products, or vegan eating devoid of all flesh foods and animal-derived products. • Reduced risk of diabetes
• A1C reduction
• Weight loss
• Lowered LDL-C and non-HDL-C
Low-fat Emphasizes vegetables, fruits, starches (e.g., breads/crackers, pasta, whole intact grains, starchy vegetables), lean protein sources (including beans), and low-fat dairy products. In this review, defined as total fat intake ≤ 30% of total calories and saturated fat intake ≤ 10%. • Reduced risk of diabetes
• Weight loss
Low-carbohydrate Emphasizes vegetables low in carbohydrate (such as salad greens, broccoli, cauliflower, cucumber, cabbage, and others); fat from animal foods, oils, butter, and avocado; and protein in the form of meat, poultry, fish, shellfish, eggs, cheese, nuts, and seeds. Some plans include fruit (e.g., berries) and a greater array of nonstarchy vegetables. Avoids starchy and sugary foods such as pasta, rice, potatoes, bread, and sweets. There is no consistent definition of “low” carbohydrate. In this review, a low-carbohydrate eating pattern is defined as reducing carbohydrates to 26∼45% of total calories. • A1C reduction
• Weight loss
• Lowered blood pressure
• Increased HDL-C and lowered triglycerides

Adapted from the article of Evert et al. (Diabetes Care 2019;42:731-54) [45] under the License for Non-Commercial Reuse, Version 1.0 of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1C, glycated hemoglobin;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Source: RCTs, meta-analyses, observational studies, nonrandomized single-arm studies, cohort studies.

REFERENCES

1.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Nutrition Society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p163-202.
2.Song SJ, Shim JE. Evaluation of total fat and fatty acids intakes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data from the 2016-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orean J Community Nutr 2019;24:223-31.
crossref pdf
3.Evert AB, Boucher JL, Cypress M, Dunbar SA, Franz MJ, Mayer-Davis EJ, et al. Nutrition therapy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2014;37(Suppl 1):S120-43.
crossref pmid pdf
4.Haffner SM, Lehto S, Rönnemaa T, Pyörälä K, Laakso M. Mortality from coronary heart disease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and in nondiabetic subjects with and with-out prior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1998;339:229-34.
crossref pmid
5.van Dam RM, Willett WC, Rimm EB, Stampfer MJ, Hu FB. Dietary fat and meat intake in relation to risk of type 2 diabetes in men. Diabetes Care 2002;25:417-24.
crossref pmid pdf
6.Bradley U, Spence M, Courtney CH, McKinley MC, Ennis CN, McCance DR, et al. Low-fat versus low-car-bohydrate weight reduction diets: effects on weight loss,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a randomized control trial. Diabetes 2009;58:2741-8.
pmid pmc
7.Alhazmi A, Stojanovski E, McEvoy M, Garg ML. Macro-nutrient intakes and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J Am Coll Nutr 2012;31:243-58.
crossref pmid
8.Samaha FF, Iqbal N, Seshadri P, Chicano KL, Daily DA, McGrory J, et al. A low-carbohydrate as compared with a low-fat diet in severe obesity. N Engl J Med 2003;348:2074-81.
crossref pmid
9.Mensink RP, Zock PL, Kester AD, Katan MB.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and carbohydrates on the ratio of serum total to HDL cholesterol and on serum lipids and apolipo-proteins: a meta-analysis of 60 controlled trials. Am J Clin Nutr 2003;77:1146-55.
crossref pmid
10.Vitale M, Masulli M, Rivellese AA, Babini AC, Boemi M, Bonora E, et al. Influence of dietary fat and carbohydrates proportions on plasma lipids, glucose control and low-grade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The TOSCA.IT Study. Eur J Nutr 2016;55:1645-51.
crossref pmid pdf
11.Authors/Task Force Members; ESC Committee for Practice Guidelines (CPG); ESC National Cardiac Societies. 2019 ESC/EA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lipid modification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Atherosclerosis 2019;290:140-205.
pmid
12.Korean Diabetes Association2021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betes. 7th ed.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21. p56-72.
13.Korean Society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KSoLA) Committe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5th ed.Seoul: KSoLA; 2022. p55-67.
14.Imamura F, Micha R, Wu JH, de Oliveira Otto MC, Otite FO, Abioye AI, et al. Effects of saturated fat, polyunsaturated fat, monounsaturated fat, and carbohydrate on glucose-insulin homeosta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feeding trials. PLoS Med 2016;13:e1002087.
crossref pmid pmc
15.Eckel RH, Jakicic JM, Ard JD, de Jesus JM, Houston Miller N, Hubbard VS, et al. 2013 AHA/ACC guideline on lifestyle management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4;129(25 Suppl 2):S76-99.
pmid
16.Grundy SM, Stone NJ, Bailey AL, Beam C, Birtcher KK, Blumenthal RS, et al. AHA/ACC/AACVPR/AAPA/ABC/ACPM/ADA/AGS/APhA/ASPC/NLA/PCNA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9;139:e1082-143.
pmid
17.Li SX, Imamura F, Schulze MB, Zheng J, Ye Z, Agudo A, et al. Interplay between genetic predisposition, macro-nutrient intake and type 2 diabetes incidence: analysis within EPIC-InterAct across eight European countries. Diabetologia 2018;61:1325-32.
crossref pmid pmc pdf
18.Mirmiran P, Esfandyari S, Moghadam SK, Bahadoran Z, Azizi F. Fatty acid quality and quantity of diet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adults: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J Diabetes Complications 2018;32:655-9.
crossref pmid
19.Krishnan S, Steffen LM, Paton CM, Cooper JA. Impact of dietary fat composition on prediabetes: a 12-year fol-low-up study. Public Health Nutr 2017;20:1617-26.
crossref pmid pmc
20.Nunes EA, Rafacho A. Implications of palmitoleic acid (palmitoleate) on glucose homeostasis,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Curr Drug Targets 2017;18:619-28.
crossref pmid
21.Zong G, Li Y, Sampson L, Dougherty LW, Willett WC, Wanders AJ, et al. Monounsaturated fats from plant and animal sources in relation to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US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2018;107:445-53.
crossref pmid pmc
22.Dias CB, Amigó N, Wood LG, Mallol R, Correig X, Garg ML. Improvement of the omega 3 index of healthy subjects does not alter the effects of dietary saturated fats or n-6PUFA on LDL profiles. Metabolism 2017;68:11-9.
crossref pmid
23.Vafeiadou K, Weech M, Altowaijri H, Todd S, Yaqoob P, Jackson KG, et al. Replacement of saturated with unsaturated fats had no impact on vascular function but ben-eficial effects on lipid biomarkers, E-selectin, and blood pressure: results from the randomized, controlled Dietary Intervention and VAScular function (DIVAS) study. Am J Clin Nutr 2015;102:40-8.
crossref pmid
24.Marklund M, Wu JHY, Imamura F, Del Gobbo LC, Fretts A, de Goede J, et al. Biomarkers of dietary omega-6 fatty acids and incident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Circulation 2019;139:2422-36.
pmid pmc
25.Geleijnse JM, Giltay EJ, Grobbee DE, Donders AR, Kok FJ. Blood pressure response to fish oil supplementation: metaregression 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J Hypertens 2002;20:1493-9.
crossref pmid
26.Harris WS, Kris-Etherton PM, Harris KA. Intakes of long-chain omega-3 fatty acid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for death from coronary heart disease in healthy adults. Curr Atheroscler Rep 2008;10:503-9.
crossref pmid pdf
27.Alexander DD, Miller PE, Van Elswyk ME, Kuratko CN, Bylsma LC.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prospective cohort studies of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Mayo Clin Proc 2017;92:15-29.
crossref pmid
28.Miller M, Stone NJ, Ballantyne C, Bittner V, Criqui MH, Ginsberg HN, et al. Triglycerid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1;123:2292-333.
crossref pmid
29.Rimm EB, Appel LJ, Chiuve SE, Djoussé L, Engler MB, Kris-Etherton PM, et al. Seafood long-cha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8;138:e35-47.
crossref pmid pmc
30.ElSayed NA, Aleppo G, Aroda VR, Bannuru RR, Brown FM, Bruemmer D, et al. Facilitating positive health be-haviors and well-being to improve health outcomes: standards of care in diabetes-2023. Diabetes Care 2023;46(Supple 1):S68-96.
pmid
31.Wei MY, Jacobson TA. Effects of eicosapentaenoic acid versus docosahexaenoic acid on serum lipi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urr Atheroscler Rep 2011;13:474-83.
crossref pmid pdf
32.Mattar M, Obeid O. Fish oil and the management of hy-pertriglyceridemia. Nutr Health 2009;20:41-9.
crossref pmid pdf
33.Chen C, Yang Y, Yu X, Hu S, Shao S. Associ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s consumption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J Diabetes In-vestig 2017;8:480-8.
crossref pdf
34.Rice Bradley BH. Dietary fat and risk for type 2 diabetes: a review of recent research. Curr Nutr Rep 2018;7:214-26.
crossref pmid pmc pdf
35.Djoussé L, Gaziano JM, Buring JE, Lee IM. Dietary ome-ga-3 fatty acids and fish consump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11;93:143-50.
crossref pmid
36.Brown TJ, Brainard J, Song F, Wang X, Abdelhamid A, Hooper L. Omega-3, omega-6, and total dietary polyunsaturated fa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BMJ 2019;366:l4697.
crossref pmid pmc
37.Mozaffarian D, Aro A, Willett WC. Health effects of trans-fatty acids: experimental and observational evi-dence. Eur J Clin Nutr 2009;63(Suppl 2):S5-21.
crossref pdf
38.de Souza RJ, Mente A, Maroleanu A, Cozma AI, Ha V, Kishibe T, et al. Intake of saturated and tran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all 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BMJ 2015;351:h3978.
pmid pmc
39.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A in-depth analysis study on intake of nutrients among Korean. Osong: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9.
40.Ordovas JM. Genetic influences on blood lip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ools for primary prevention. Am J Clin Nutr 2009;89:1509S-17S.
crossref pmid pmc
41.Clarke R, Frost C, Collins R, Appleby P, Peto R. Dietary lipids and blood cholesterol: quantitative meta-analysis of metabolic ward studies. BMJ 1997;314:112-7.
crossref pmid pmc
42.ElSayed NA, Aleppo G, Aroda VR, Bannuru RR, Brown FM, Bruemmer D, et al;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0. Cardiovascular Disease and Risk Management: Standards of Care in Diabetes-2023. Diabetes Care 2023;46(Suppl 1):S158-90.
crossref pmid pdf
43.Arnett DK, Blumenthal RS, Albert MA, Buroker AB, Goldberger ZD, Hahn EJ, et al. 2019 ACC/AHA guideline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9;140:e596-646.
pmid pmc
44.Korean Diabetes Association2023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betes (abridgement). 8th ed.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23. p21.
45.Evert AB, Dennison M, Gardner CD, Garvey WT, Lau KHK, MacLeod J, et al. Nutrition therapy for adults with diabetes or prediabetes: a consensus report. Diabetes Care 2019;42:731-54.
crossref pmid pmc pdf


Editorial Office
101-2104,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714-9064    Fax: +82-2-714-9084    E-mail: diabetes@kams.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